본문 바로가기

병원사용설명서561

Q) 수술 직후 환자 BP 높을 경우? Q) 수술 직후 환자 BP 높을 경우? 수술실에서 수술이 끝나면 마무리 정리를 한 후 마취(전신마취, 척추마취 등)를 깨우고 병실로 넘어온다 이 중 특히 전신마취의 경우 환자가 깨면서 통증으로 인해 혈압이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 환자가 수술 후 병실로 오자마자 Vital Sign을 바로 확인을 해보는데 SBP가 150mmHg보다 높게 나오면 우선 monitor가 정확하게 측정됐는지 확인해보고 이상이 없고 정확하다면 Doctor notify 후 observation(경과관찰)하거나 혈압약을 IV로 적정량 줄 수 있다. ​ 다만 통증으로 인한 혈압 상승일 수도 있으니 혈압약 보다 진통제를 우선으로 주기도 한다 2023. 2. 4.
BP의 기준 및 알람 설정 * BP의 기준 및 알람 설정 : 혼자서 여러 명의 환자를 보다 보면 모든 환자의 Monitoring을 지속적으로 보는 것에 한계가 있다 그러다 갑자기 BP가 떨어진 채로 있는 환자를 발견하게 된다면 언제부터 이랬나 식은 땀이 난다,,, ​ 그렇기에 BP limit 설정이 중요한대 Monitor 기기마다 설정법은 다르기 때문에 설정 개념에 대해서만 정리하고자 한다 환자마다 치료적으로 유지하는 BP target은 다르지만 대게 너무 높지도, 너무 낮지도 않게 유지하려고 한다 그렇다면 너무 높은 BP? 너무 낮은 BP? 는 얼마일까? ​ 대략 SBP 기준으로 70~150mmHg 사이를 유지하면 그래도 당장 뭔가 급하게 조치가 필요한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물론 환자 상태마다 정말 다르다,, 우선 최소한의 기.. 2023. 2. 4.
CVP zeroing 하는법? * CVP zeroing 하는법? 1. CVP line을 C-line 남는 Lumen에 연결함 (남는 Lumen이 없을 경우 잠시 안 들어가도 되는 Fluid(TPN or 0.9%N/S or H/S 등 주로 Main fluid)에 연결함) 2. 환자를 Supine으로 눕힘(금기인 경우 굳이 무리해서 하지 않아도 됨) 3. Holder 및 Transducer를 환자 겨드랑이 높이에 맞추고 Zeroing 함 4. monitor 상 Zeroing 된 것 확인 후 CVP 값 확인함 (남는 lumen에 한 경우 다시 기존 Fluid 연결함) 2023. 2. 4.
CVP 정상범위? * CVP 정상범위? : CVP는 전신순환 혈액량이 우심방에 돌아오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전신의 Volume을 알아내는 지표로서 활용된다 정상 범위는 2-8mmHg​ 이다 근데 이게 헷갈리게 압력 단위가 2가지다 mmHg로는 2-8이지만 cmH2O로는 5-10cmH2O이다 그래서 대강 본인은 그냥 cmH2O로만 생각했다 사실상 CVP는 보조적인 지표로 사용하고(측정오류도 많고,,,) 대략적인 수치와 추세를 중요시 보기 때문에 2가지 다 외우지 않고 한 가지라도 정확하게 기억해 대략적인 정상 범위를 기억했다 그렇다면 CVP가 높고 낮을 때 의미하는게 무엇일까? - CVP가 높음 : Volume이 많음(폐부종, pleural effusion 등 우려) -> 이뇨제를 사용해서 Volume을 빼줌 - CVP.. 2023.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