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사용설명서/신규간호사

복잡한 항생제 이해하기 3편(퀴놀론계열,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열)

유창고 2025. 4. 13. 13:23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임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항생제를 구분하는 기준하는 법 알아보기 마지막편이에요

이전에 세포벽합성을 억제하는 항생제들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러한 기전 말고도 다양한 원리로 세균을 억제하고 제거하는 항생제들이 많아요!

그 중에 임상에서 일할 때
가장 많이 흔하게 접해본 항생제
2가지 계열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퀴놀론계 항생제
퀴놀론계 항생제는
세포가 증식할 때 DNA를 복제해야하는데
이러한 DNA 합성을 억제해서 세균을 죽여요!

퀴놀론이란 이름보다 성분명이 더 친숙한 약품으로
이름 끝이 ‘~플록사신(floxacin)’이라고 끝나는 항생제들이 퀴놀론계 항생제에요

대표적으로 레보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이 있어요

출처 : 약학정보원

이 항생제들의 특징 중 하나로
바이알이나 앰플에 들어있지 않고
수액백이나 수액병 형태로 있곤해요!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는
단백질 합성을 억제해서 세균을 죽여요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도 마찬가지로
약품 이름이 좀 더 친숙하실거에요!

이름의 끝이 ‘~마이신’이라고 끝나면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에요!!
(근데! 반코마이신은 아니에요!! 반코는 펩티도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에요! 헷갈리면 안돼요!!)

자주 사용하는 항생제로
겐타마이신, 아미카신 등등이 있어요

 

그리고 약품이 대게 앰퓰(ampule) 유리병 형태로 있곤 해요!


이렇게 항생제에 대해 알아봤어요!!
정리를 해보면

 

 

세포벽 합성 억제 항생제
-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베타락탐고리)
- 베타락타마아제 억제하는 합성 페니실린(타조페란, 유나신)
- 베타락탐고리를 개선한 세팔로스포린계열
(1세대:세파졸림/2세대:야마테탄/3세대:세프트리악손,세포탁심,타짐/4세대:맥스핌)
- 페니실린과 세파계열에 내성이 있는 균에 사용하는 카바페넴계열(메로펨)
- 베타락탐고리 내성이 있는 MRSA균에 사용되는 글리코펩티드계열(반코마이신, 테이코플라닌)

DNA 합성 억제
주로 수액백 or 병에 들어 있고 끝이 ‘~플록사신’으로 끝나는 퀴놀론계열 항생제(레보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목플록사신)

단백질 합성 억제
주로 앰풀에 들어 있고 끝이 ‘~마이신’으로 끝나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열 항생제(겐타마이신)

다른 항생제 내용도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 참조해주세요!

복잡한 항생제 이해하기 1편(페니실린항생제, 세팔로스포린계열항생제,그람양성균,그람음성균,호기성,혐기성)

복잡한 항생제 이해하기 2편(카바페넴계열, 글리코펩티드계열)

복잡한 항생제 이해하기 3편(퀴놀론계열,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