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IBP4

Q) NIBP 측정 간격? Q) NIBP 측정 간격? : 주로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함 더 지속적인 BP monitoring이 필요한 경우 주로 A-line을 잡아 ABP monitoring을 하지만 A-line을 잡기 어렵거나 유지가 안될 경우 NIBP 측정간격을 30분 간격으로 보기도 함 (너무 간격을 짧게 할 경우 측정 부위에 피부 문제가 생길 수 있음) 2022. 12. 2.
Q) NIBP와 ABP 차이가 있을 때? Q) NIBP와 ABP 차이가 있을 때? : Doctor 확인 후 어떤 BP로 볼지 결정, 주로 ABP로 보나 Wave가 이상하거나 Doral or femoral ABP인 경우 NIBP로 봄 (Dorsal or Femoral ABP의 경우 환자의 혈압보다 높게 나오기 때문에 부정확함!) 2022. 12. 2.
* NIBP 측정법 * NIBP 측정법 : 주로 윗팔(상완)에 Cuff를 감아서 측정함(2/3정도 Size가 적당함) (다리 허벅다리(대퇴부)도 측정하지만 대게 10~40mmHg정도 차이가 난다) Cuff를 감을 때 환의 주름이 쭈글쭈글 지게 한 채로 감아놓으면 간혹 피부 문제(욕창)이 생길 수 있으니 되도록 환의를 쫙 펼쳐서 한 번 접어 잘 정리 후 측정하도록 하자!! (맨살에 하지 않도록 하자!!) 대게 ICU 환자의 경우 1시간 마다 측정하며 한 부위에 오래 측정하므로 그리고 종종 풀어봐서 피부 상태!! 확인 하도록 하자! 그리고!! 금기인 경우가 있으니 주의할 것!!! (주로 입원시 확인 후 해당 팔에 금기 팔찌를 해놓곤 한다) 금기인 경우 - 유방암 절제술(해당 부위 림프절이 없어 부종이 잘 생김) - 투석 및 신.. 2022. 12. 2.
NIBP 정상 범위 * NIBP 정상 범위 : 이완기압 도 중요하지만 우선 수축기압 기준으로만 얘기해보고자 한다 (대게 수축기압이 떨어지거나 올랐을 때 이완기압도 같이 움직일 때가 많아 수축기압 기준으로 notify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완기압이 안 중요한건 아니다!!!) 이완기압(DBP, Diastolic Blood Pressure) 수축기압(SBP, Systolic Blood Pressure) 교과서 및 흔히 아는 기준으로 수축기압이 120mmHg보다 낮으면 혈압이 낮다! 수축기압이 140mmHg보다 높으면 혈압이 높다 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혈압을 볼 땐! 환자마다 상황마다 기준이 다르다!! 그렇다면 혈압이 어느 정도일 때 얼른 빨리 notify를 해서 조치를 해야하는 걸까? 먼저 혈압이 낮을 경우!.. 2022.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