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T2 피검사 후 Lab bottle 흔드는 방법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Lab bottle 피검사 용기 흔드는 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피검사를 진행할 때 환자에게서 피를 채취한 다음 피검체통 넣곤 하는데요 검체 용기마다 검사 특성에 따라 들어있는 용액이 다른곤 해요 가령, CBC 검사를 나가는 EDTA 보라색 통의 경우에 Lab bottle 안에 항응고제가 들어있어요 그래서 피를 넣어보면 EDTA는 계속 주르륵 흐르는 정도의 농도를 갖고 있고 SST의 경우엔 다 굳어있는 듯한 모습을 볼 수 있어요 (혈액을 응고시킨 후 위에 있는 혈청을 검사하기 위함) 그렇기에 검체 용기 안에 용액과 들어간 피가 잘 섞이도록 흔들어주는 게 중요해요 임상에서 제가 많이 사용한 방법 2가지를 알려드릴게요 첫번째로는 손바닥과 손바닥 사이에 Lab bottle을 놓고 돌돌.. 2025. 1. 21. Citrate Plain SST EDTA tube별 검사항목 안녕하세요 오늘은 피검사 용기별 검사 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임상에서 주로 사용하는 피검사 용기는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Citrate, Plain, SST, EDTA 각각의 용기별로 주로 진행하는 검사와 세부적인 검사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itrate Tube 주로 피검사 항목들 중 피가 굳는 응고 관련 검사를 진행합니다 PT, aPTT, INR, D-dimer 정도 기억해주시면 좋습니다 -PT PT는 프로트롬빈 타임으로 우리 몸에서 피가 날 경우 다양한 작용을 통해 지혈이 이루어집니다 그러한 응고 과정 속에서 PT는 외인성 경로 상에서 응고가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검사하는 항목입니다 시간이 길어질 경우 응고지연으로 봅니다 FFP(Fresh Frozen Plasma) 수혈 전 검사로 .. 2024. 5.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