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사용설명서/신규간호사

복잡한 항생제 이해하기 2편(카바페넴계열, 글리코펩티드계열)

by 유창고 2025. 4. 12.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이전에 이어서 항생제 분류를 위한 개념에 대해 알아볼게요

카바페넴계열
베타락탐 고리를 가지고 있는
페니실린계열과 세팔로스포린계열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서 개발된 항생제가 바로 카바페넴계열 항생제에요

출처 : 약학정보원

 

메로펜, 인반즈 등등이 많이 사용되는 약품이에요
성분명의 끝이 ~penem으로 끝나요!(meropenem, imipenem, ertapenem)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모두 광범위한 향균력을 가지고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사용할 때 정말 조심해서 사용해야하는 항생제이기도해요
왜냐하면
이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균이 바로 CRE(Carbapenem Resistance Enterobacteriaceae) 균이에요
카바페넴에 내성이 있는 경우 퀴놀론계열,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열에도 내성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말 조심히 사용해야 해요!

근데, 이러한 카바페넴도 MRSA균에는 효과가 없어요
그래서 만든 항생제가 있어요

 

 

글리코펩타이드계열
글리코펩타이드계열 항생제에요
계열보다는 우리에게 친숙한 항생제가 있어요

출처 : 약학정보원


반코마이신이에요

반코마이신의 경우 MRSA 균에 효과적이에요

 

 

그렇기에 Cultrue 검사 결과 MRSA균이 검출된 경우
반코마이신을 항생제로 사용하곤 해요!

그런데, 이 항생제 또한 조심해야할게
VRE(vancomycin-resistance enterococci) 내성균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해요!

그리고 추가적으로 반코마이신의 사용할 경우
TDM(Therapeutic Drug Monitoring) 검사를 진행하곤 해요
피 속에 있는 반코마이신의 농도를 확인하는 것인데요

만약, 농도가 너무 낮다면
반코마이신을 사용하고 있는데도
균이 적절하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어요
그런데 농도가 너무 높다면
반코마이신으로 인해 신체 부담이 높아져서
환자에게 피해가 갈 수 있어요

그렇기에 적절하게 치료적 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TDM 검사를 통해 검사 결과를 확인해보고
반코마이신을 투여할지 다음에 투여할지 결정하곤 해요!

 


페니실린, 세팔로스폴린계열, 카바페넴계열, 반코마이신
위의 항생제들이 공통점이 있어요
바로 세포벽 합성을 억제해서 세균을 죽이는 것인데요
다음에는 다른 원리로 세균을 죽이는 항생제들 중에서
임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항생제에 대해 알아볼게요

다른 항생제 내용도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 참조해주세요!

복잡한 항생제 이해하기 1편(페니실린항생제, 세팔로스포린계열항생제,그람양성균,그람음성균,호기성,혐기성)

복잡한 항생제 이해하기 2편(카바페넴계열, 글리코펩티드계열)

복잡한 항생제 이해하기 3편(퀴놀론계열,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