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2 Q) 수술 직후 환자 BP 높을 경우? Q) 수술 직후 환자 BP 높을 경우? 수술실에서 수술이 끝나면 마무리 정리를 한 후 마취(전신마취, 척추마취 등)를 깨우고 병실로 넘어온다 이 중 특히 전신마취의 경우 환자가 깨면서 통증으로 인해 혈압이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환자가 수술 후 병실로 오자마자 Vital Sign을 바로 확인을 해보는데 SBP가 150mmHg보다 높게 나오면 우선 monitor가 정확하게 측정됐는지 확인해보고 이상이 없고 정확하다면 Doctor notify 후 observation(경과관찰)하거나 혈압약을 IV로 적정량 줄 수 있다. 다만 통증으로 인한 혈압 상승일 수도 있으니 혈압약 보다 진통제를 우선으로 주기도 한다 2023. 2. 4. NIBP 정상 범위 * NIBP 정상 범위 : 이완기압 도 중요하지만 우선 수축기압 기준으로만 얘기해보고자 한다 (대게 수축기압이 떨어지거나 올랐을 때 이완기압도 같이 움직일 때가 많아 수축기압 기준으로 notify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완기압이 안 중요한건 아니다!!!) 이완기압(DBP, Diastolic Blood Pressure) 수축기압(SBP, Systolic Blood Pressure) 교과서 및 흔히 아는 기준으로 수축기압이 120mmHg보다 낮으면 혈압이 낮다! 수축기압이 140mmHg보다 높으면 혈압이 높다 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혈압을 볼 땐! 환자마다 상황마다 기준이 다르다!! 그렇다면 혈압이 어느 정도일 때 얼른 빨리 notify를 해서 조치를 해야하는 걸까? 먼저 혈압이 낮을 경우!.. 2022. 12.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