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사용설명서/신규간호사

EKG 전극 패치 electrode 부착하기 흰검빨, 빨노초

by 유창고 2025. 6. 24.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EKG electrode 부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EKG 부착 원리

환자의 심장의 상태를 매우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매우 고마운 검사인데요!
EKG 심전도의 원리는 
심장이 운동할 때 발생하는 전기적 자극을 포착해서
심장이 어떤 상태인지 유추 할 수 있어요

흔히, 12-lead-EKG 말고 
간단하게 3개의 electrode 전극을 부착해서 확인하는
Lead 1,2,3 심전도를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데요
Lead 2를 가장 기본 셋팅 값으로 많이 보곤 해요!

Lead 2는 우측 팔에서 왼쪽 다리로 지나가는 전기적 신호를 보는 심전도에요
그렇기에 3개의 전극을 기준으로 
전기적 신호를 포착해서 심장상태를 볼 수 있어요!

그러면 이러한 3개의 전극을 어디에 부착해야 원하는 전기적 신호를 파악할 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EKG 부착 위치

3개의 심전도 부착 위치에 대해 알아볼게요!

 

RA : 오른쪽 쇄골아래
LA : 왼쪽 쇄골아래
LL : 왼쪽 유두아래

 

이렇게 3가지 electrode 전극을 부착하면 돼요
그러면 Lead 1, 2, 3의 전극 신호를 확인할 수 있어요

대부분 특이사항이 없다면 
위의 환자의 상체 배쪽 부분을 기준으로 EKG 전극을 부착하면 돼요
그런데! 실제로 임상에서 일을 하다보면
항상 다양한 변수가 발생하곤 해요

피부 상태 문제 또는 치료적 목적으로 인해 
해당 부분에 전극 부착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곤 해요

이럴 때는, 그 근방에 부착하면 돼요
근방의 기준은 환자의 심장 리듬을 파악하는 심전도의 원리를 떠올려보면 되는데요
방향성을 고려해서 부착하면 돼요

오른쪽 쇄골 아래가 어렵다면 오른쪽 어깨부근에 부착해도 돼요
그 부분도 어렵다면 오른쪽 가슴쪽까지 내려오기도 해요
이렇게 상황에 맞춰서 심장 기준으로 방향을 잡고 부착 부위를 유도리 있게 조정할 수 있어요

마찬가지로 환자의 자세가 엎드려야 한다면
등에 전극을 부착할 수 있어요
이 때는 그대로 등의 위치로 옮겨서 부착하면 돼요
그럼 보다, 자세한 전극의 위치 부착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EKG 부착 방법

EKG electrode 전극의 색깔은 2가지가 있어요

 

흰색/검정색/빨간색
빨간색/노란색/초록색

 

제가 근무했던 병원들을 보면
첫번째, 두번째 병원에서는 흰/검/빨을 썼었고
세번째 병원에서는 빨/노/초를 썼었어요

실제 임상에서 근무하는 선생님들께 설문해본 결과
대략 85% 정도 대부분의 병원에서 흰/검/빨 조합의 EKG 전극을 사용하고
15%정도 병원이 빨/노/초 조합을 사용했어요

그러니 일단 흰/검/빨로 외우도록 해봐요!

 

이렇게 위치에 맞춰서 EKG 전극을 부착하면 돼요

그런데 일하다보면
갑자기 막 헷갈릴 때가 있어요
그럴 때 제가 외운 팁을 공유드리면
성호를 긋듯이 EKG 전극의 부착 위치에 손을 대면서
흰/검/빨 색깔을 외우면
헷갈릴 때마다
한번씩 제스쳐를 해주면서 기억을 상기시키곤 했어요!

그래도 정 헷갈린다면
모든 EKG line은 아니지만 중간에 그림으로 표시된 것도 있기 때문에
그걸로 컨닝해보는 것도 방법이에요!

 


빨/노/초 전극의 경우엔

혹시, 빨/노/초 EKG 전극이라면 사실 똑같은 것이지만
위치에 맞춰서 부탁하시면 돼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