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사용설명서/중환자실(ICU)

Q) BP가 낮을 때 대처법?

by 유창고 2023. 2. 4.

Q) BP가 낮을 때 대처법?

 

이제 막 독립을 하고 혼자 환자를 보는데

환자의 BP 알람이 울려 모니터를 보니 수축기 혈압이 70mmHg를 가리키고 있다

어떻게 해야 할까?

아무런 경험이 없다 보니 당황스럽고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한데

우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치를 하는 방법이 굉장히 다양하다

그러나 이제 막 독립한 사람에게 그런 것까지 고려하긴 어려운게 현실이다

 

그렇기에 우선 대부분의 상황에서 적용이 되는 경우를 예시로 기준을 잡아보자

 

1. 혈압 측정 이상 확인

: 혈압은 의외로 환자의 자세, BP cuff 및 ABP function 등 여러 요소로 인해 바뀔 가능성이 있다.

현재 측정된 혈압이 정확한 환자의 혈압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 NIBP의 경우 BP cuff를 다시 적용하거나 반대 팔에 측정

- ABP의 경우 flushing을 통해 function test함

등의 확인 후 측정 상 이상이 없음을 확인한다!

(위의 과정이 중요한 건 측정오류로 인해 실제로 혈압이 높은 환자에게 혈압을 올리는 약이 들어가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잘 확인 해야 한다!)

2. 이전 혈압과 비교

: 원래 혈압이 80mmHg인 환자가 70mmHg 혈압이 측정된 것과

혈압이 120mmHg인 환자가 70mmHg 혈압이 측정된 건 굉장히 다른 부분이다

80->70mmHg의 경우엔 Doctor에게 notify 후 경과관찰을 할 수도 있지만

120->70mmHg의 경우 뭔가 즉각적인 치료를 해야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CPR 같이 응급상황은 아니니 너무 당황하진 말자

하지만 혈압이 50~60mmHg라면 좀 다급할 필요는 있다,,,,)

3. 환자의 현재 복용 중인 및 투약 중인 약 확인

: 기존에 복용 및 투약 중인 고혈압 약이 있는지 확인하다

원래 복용 및 투약 중이던 약이 있다면 약 용량 및 투여 시간을 확인 후 Doctor notify 한다

고혈압 약을 복용 안 하던 환자의 경우 바로 약을 줄 수도 있지만

기존에 약이 들어간 경우 약의 투약 간격 및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정량을 투여 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에 들어가는 약을 확인해야 한다

4.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고려한다

이게 사실 젤 어렵다…

혈압이 낮아지는 경우의 원인은 굉장히 다양하다

Volume이 부족하거나

진정제가 들어갔거나

Bleeding이 있거나

병리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등등

그렇기에 기본 Vital sign을 확인 후 Doctor에게 notify를 한다

(이 부분은 결국 하나하나 이벤트를 겪으며 경험이 쌓이면서 늘어가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한 예시로 Volume이 부족한 경우)

환자의 I/O 및 CVP 측정값, 전반적인 신체상태

(edema가 있는지, pleural effusion은 없는지) 등을 확인 후

BP가 떨어졌을 때 volume을 줘도 되는 경우

환자가 달고 있는 기본 수액을 IV loading(full drop) 하거나 

또는 80cc/hr, 120cc/hr 등등의 일정한 속도로 환자에게 volume을 채워줄 수 있다.

그러니 Doctor에게 Notify하기 전에 이러한 부분들도 확인하자

5. 마지막 선배 찬스!

그렇다 위의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할 줄 안다면

신입이 아니지 않겠느냐,, 그리고 신입인데 그렇게 일을 잘한다면 여기서 일도 하고 있지 않겠지,,,

그렇기에 잘 모르는 상황이 오면 주저 말고 선배님께 찾아가 도움을 청하도록 하자!

'병원사용설명서 > 중환자실(ICU)' 카테고리의 다른 글

EKG 부착 방법(흰검빨/빨노초)  (0) 2023.02.21
HR 정상 범위  (0) 2023.02.21
Q) BP가 높을 때 대처법?  (0) 2023.02.04
Q) DNR환자 BP 보는 법?  (0) 2023.02.04
Q) 수술 직후 환자 BP 낮을 경우?  (0) 2023.02.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