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BP가 높을 때 대처법?
이제 막 독립을 하고 혼자 환자를 보는데
환자의 BP 알람이 울려 모니터를 보니 수축기 혈압이 170mmHg를 가리키고 있다
어떻게 해야할까?
아무런 경험이 없다보니 당황스럽고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기만 한데
우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치 하는 방법이 굉장히 다양하다
그러나 이제 막 독립한 사람이 그런 것까지 고려하긴 어려운게 현실이다
(이제 걸음마 뗀 아기한테 뒤로 뛰라는 것과 같다,,, 뒤로 뛰는 건 어른도 힘든 일이다,,,)
그렇기에 우선 대부분의 상황에서 적용이 되는 경우를 예시로 기준을 잡아보자
1. 혈압 측정 이상 확인
: 혈압은 의외로 환자의 자세, BP cuff 및 ABP function 등 여러 요소로 인해 바뀔 가능성이 있다.
현재 측정된 혈압이 정확한 환자의 혈압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 NIBP의 경우 BP cuff를 다시 적용하거나 반대 팔에 측정
- ABP의 경우 flushing을 통해 function test함
등의 확인 후 혈압 측정 상 이상이 없음을 확인한다!
(위의 과정이 중요한 건 측정오류로 인해 실제로 혈압이 낮은 환자에게 혈압이 높은 줄 알고혈압을 낮추는 약이 들어가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정말 잘 확인 해야한다!)
2. 이전 혈압과 비교
: 원래 혈압이 160mmHg인 환자가 170mmHg 혈압이 측정된 것과
혈압이 110mmHg인 환자가 170mmHg 혈압이 측정된 건 굉장히 다르게 적용해야하는 부분이다
160->170mmHg의 경우엔 Doctor에게 notify 후 경과관찰을 할 수도 있지만
110->170mmHG의 경우 뭔가 즉각적인 치료를 해야 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CPR같이 응급상황은 아니니 너무 당황하진 말자)
3. 환자의 현재 복용 중인 및 투약 중인 약 확인
: 기존에 복용 및 투약 중인 고혈압 약이 있는지 확인하다
원래 복용 및 투약 중이던 약이 있다면 약 용량 및 투여 시간을 확인 후 Doctor notify 한다
고혈압 약을 복용 안 하던 환자의 경우 바로 약을 줄 수도 있지만
기존에 약이 들어간 경우 약의 투약 간격 및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정량을 투여 해야하기 때문에 기존에 들어가는 약을 확인해야 한다
4.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고려한다
이게 사실 젤 어렵다…
혈압이 높아지는 경우의 원인은 굉장히 다양하다
열이 나거나
통증이 있거나
진정에서 깨어나거나
환자의 volume이 너무 많거나 등등
그렇기에 기본 Vital sign을 확인 후 Doctor에게 notify를 한다
(이 부분은 결국 하나하나 이벤트를 겪으며 경험이 쌓이면서 늘어가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한 예시로 열이 나는 경우)
혈압이 상승한게 열이 나서 인데 혈압약만 준다면
결국 열에 대한 치료가 늦어지는 부분과
나중에 열이 떨어졌을 때 이미 들어간 혈압약으로 인해 저혈압이 올 수도 있다.
그러니 혈압이 상승한 원인을 어느 정도는 파악하고 Doctor에게 notify해야지만
적절한 order를 통해 환자에게 알맞은 조치를 해줄 수 있다.
5. 마지막 선배 찬스!
그렇다 위의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할 줄 안다면
신입이 아니지 않겠느냐,, 그리고 신입인데 그렇게 일을 잘한다면 여기서 일도 하고 있지 않겠지,,,
그렇기에 잘 모르는 상황이 오면 주저 말고 선배님께 찾아가 도움을 청하도록 하자!
'병원사용설명서 > 중환자실(ICU)' 카테고리의 다른 글
HR 정상 범위 (0) | 2023.02.21 |
---|---|
Q) BP가 낮을 때 대처법? (0) | 2023.02.04 |
Q) DNR환자 BP 보는 법? (0) | 2023.02.04 |
Q) 수술 직후 환자 BP 낮을 경우? (0) | 2023.02.04 |
Q) 수술 직후 환자 BP 높을 경우? (0) | 2023.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