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244 간호사의 점심 우리가 밥을 못 먹는 이유 안녕하세요 선생님 오늘은 간호사 실제 근무 현실에 대해 알아볼게요 여러 군데 병원을 다니면서 간호사들의 전반적인 식사 환경은 다들 못 먹는게 기본인 곳이 많았어요 먹어도 우리는 교대로 먹어야 하고 다른 부서는 점심 시간이라고 쉬는데 뭔가 참,,,, 그래도 그때는 밥이라도 먹었어서 다행이였나 싶기도 하고... 그러네요 아래의 내용은 저의 예전 경험들을 토대로 만든 가상의 하루이니 참고 부탁드려요 새벽에 일어나서 출근을 해요 탈의실에서 옷을 갈아입고 담당 물품 카운트를 하며 없어진 물건이 있나 확인해봐요 다행히 오늘은 카운트가 맞네요 그렇게 카운트를 끝마치고 인수인계 받을 준비를 해요 미리 받을 환자의 상태와 오늘자 검사, 먹는 약 등등 Lab 검사 결과도 보고 Consult 결과도 확인하면서 오늘 하루 .. 2025. 2. 27. Q) 수술 직후 환자 BP 낮을 경우? Q) 수술 직후 환자 BP 낮을 경우? 수술실에서 수술이 끝나고 환자가 넘어올 경우 바로 Vital sign을 먼저 확인 하는데 SBP가 60~70mmHg 이하로 낮게 나오는 경우 우선 monitor가 정확하게 측정됐는지 확인해보고 정확하다면 수술 중 Bleeding(출혈)로 인해 수술하면서 혈압이 떨어졌을 경우가 가장 많다 그럴 경우 Volume 부족으로 인해 혈압이 떨어진 것임으로 들어가는 Fluid(수액)의 속도를 높이거나 100~200ml 정도 IV loading(full drop)하여 환자의 Volume을 채워준다 수술 후 blood lab(CBC)를 통해 Hb 수치를 보며 수혈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래도 혈압이 계속 낮을 경우엔 Inotrope(강심제) 및 승압제를 달기도 한다 2023. 2. 4. Q) 수술 직후 환자 BP 높을 경우? Q) 수술 직후 환자 BP 높을 경우? 수술실에서 수술이 끝나면 마무리 정리를 한 후 마취(전신마취, 척추마취 등)를 깨우고 병실로 넘어온다 이 중 특히 전신마취의 경우 환자가 깨면서 통증으로 인해 혈압이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환자가 수술 후 병실로 오자마자 Vital Sign을 바로 확인을 해보는데 SBP가 150mmHg보다 높게 나오면 우선 monitor가 정확하게 측정됐는지 확인해보고 이상이 없고 정확하다면 Doctor notify 후 observation(경과관찰)하거나 혈압약을 IV로 적정량 줄 수 있다. 다만 통증으로 인한 혈압 상승일 수도 있으니 혈압약 보다 진통제를 우선으로 주기도 한다 2023. 2. 4. 정신 약어 및 의학용어 정리 약어 및 의학용어 정리 A - AN [Anorexia nervosa, 신경성 식욕부진] -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 B - BN [Bulimia nervosa, 폭식증] C - CNS [Central Nervous System, 중추신경계] - CBC [Complete Blood cell Count, 전혈구검사] D - DTR [Deep Tendon Reflex, 심부건반사] E - EEG [ElectroEncephaloGraphy, 뇌파검사] - ECT [ElectroConvulsive Therapy, 전기경련요법] G - G-I [GastroIntestinal, 소화기] H - HCP [Health Care Provi.. 2022. 8. 29. 이전 1 2 3 4 ··· 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