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포화도2 SpO2 측정 안될 때?(SpO2 측정 원리, 측정 오류 원인, 대처법)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SpO2 측정이 안될 때?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해 알아볼게요 SpO2가 98%, 97% 제대로 잘 나오다가 갑자기 80%대로 떨어지면서 안 나올 경우!! 실제로 환자의 산소 수치가 떨어진 것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 SpO2의 측정 오류로 인해 모니터상 수치가 떨어진 경우가 많아요! 이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SpO2 측정 원리SpO2는 측정기기를 측정부위에 붙이거나 고정할 경우 빨간색 빛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이렇게 빛이 반대쪽에 있는 Sensor에 도달하는데 그때, 통과하는 동안 측정부위 속에 순환하는 혈관 속의 적혈구를 지나가요 적혈구의 산소화 정도에 따라 빛이 Sensor에 도달하는 정도가 달라서 그 것을 바탕으로 SpO2 측정값.. 2025. 3. 15. SpO2 정상 범위란? SpO2(Saturation of percutaneous oxygen) 는 환자 몸 속의 호흡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다 (원리는 무슨 Probe 기계에서 나오는 빨간 빛으로 혈색소에 붙어있는 산소를 수치화 한다고 알고 있다) SpO2의 정상 범위는 95~100% 인데 정상이 95~100%이니 90% 정도면 괜찮은거 아닌가? 생각 할수도 있지만 위 그림처럼 95 아래로 가는 순간 몸속산소수치가 급격히 감소하므로 (물론 저 그래프는 설명을 위해 과장했으며 실제 수치와 다르다!!) (실제 그래프가 궁금하다면 SpO2 그래프를 찾아보자) 94%만 되도 환자의 산소 공급 및 호흡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Doctor에게 notify를 하거나 조치를 해야한다 다만 Doctor notify 전에 Probe가 빠.. 2023. 3.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