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검사5 hemolysis 용혈 피하기 위한 주사기 크기는?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채혈시 가장 스트레스 받는 상황인 hemolysis(용혈)을 피하기 위해 사용해야 할 주사기 크기에 대해 알아볼게요 정말 혈관이 없는 환자인데 겨우겨우 채혈해서 검사실 내려보냈는데 전화가 와서,,,, '303호 김O성 환자분 EDTA 헤모 됐어요 다시 뽑아서 내려주세요.' 이런 소리를 들으면 정말 안 그래도 바쁜데 다시 채혈해야한다니 막막하곤 했어요 용혈(hemolysis) 단어를 들었을 때 제가 한자를 몰라서 그런지 딱 어떤 의미인지 떠오르진 않더라고요 녹을 용, 피 혈로 피가 녹았다는 것으로 적혈구가 깨져서 그 속에 있는 성분들이 흘러나와 피검사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용혈됐다고 해요 원래는 혈장이 잘 분리된 상태에서 보면 누런 색인데 용혈이 돼면 붉으스름 심하면 검붉은 색.. 2025. 3. 9. 피검사 후 Lab bottle 흔드는 방법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Lab bottle 피검사 용기 흔드는 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피검사를 진행할 때 환자에게서 피를 채취한 다음 피검체통 넣곤 하는데요 검체 용기마다 검사 특성에 따라 들어있는 용액이 다른곤 해요 가령, CBC 검사를 나가는 EDTA 보라색 통의 경우에 Lab bottle 안에 항응고제가 들어있어요 그래서 피를 넣어보면 EDTA는 계속 주르륵 흐르는 정도의 농도를 갖고 있고 SST의 경우엔 다 굳어있는 듯한 모습을 볼 수 있어요 (혈액을 응고시킨 후 위에 있는 혈청을 검사하기 위함) 그렇기에 검체 용기 안에 용액과 들어간 피가 잘 섞이도록 흔들어주는 게 중요해요 임상에서 제가 많이 사용한 방법 2가지를 알려드릴게요 첫번째로는 손바닥과 손바닥 사이에 Lab bottle을 놓고 돌돌.. 2025. 1. 21. 피검사 결과 해석: 혈액 검사 결과를 읽는 방법과 주요 지표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피검사 결과를 읽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피검사 결과 해석에 대한 어려움 피검사 결과를 이해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일입니다. 필요한 기본 지식이 많고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가 Lab 검사를 공부할 때 많은 도움을 받았던 사이트를 추천드릴게요. Labtestsonline은 대한진단검사의학회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로 검사 결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추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2. 피검사 결과의 중요성과 해석 피검사는 다양한 항목을 확인하고 이전 검사 결과와 비교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모든 항목을 이해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므로 특징적인 검사 몇 가지를 우선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Routine CBC, .. 2024. 5. 10. 검체 바코드 부착법과 유의사항: 현장에서의 유용한 팁!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검체 바코드 부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병원에서 근무하면서 검체 바코드 부착은 매우 중요한 작업 중 하나입니다. 특히 열이 나는 환자의 검사를 위해서는 피, 소변, 가래 등 여러 검체를 모아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럴 때 바코드를 올바르게 붙이는 것이 검사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1. 피검사 바코드 부착법: 피검사의 경우, Tube에 있는 바코드를 세로로 완전히 붙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코드의 위치가 잘못되면 검사가 지연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Blood culture의 경우, 호기성과 혐기성 병이 한 쌍으로 검사를 진행하는데, 바코드를 붙일 때는 기존 바코드를 가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소변검사 및 가래검사 바.. 2024. 5. 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