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양검사2 슈퍼 박테리아 MRSA, MRAB, VRE, CRE 배양검사 구분법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다제내성균 배양검사 결과 보는 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다제내성균은 흔히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균을 의미해요 항생제에 내성이 있다는 것의 의미를 알려드리면 항생제를 썼음에도 균이 죽지 않는 것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항생제를 써도 소용이 없는 것이죠 주로, 환자분이 열이 나거나 감염의 지표가 상승할 경우 어떠한 균이 원인인지 알아보기 위해 배양 검사를 나가곤 해요 주로 기본적으로 Blood culuture, Urine culture, Sputum(or suction tip) culture를 나가곤 해요 경우에 따라 삽입물이 있는 경우(H-vac, C-line 등등) 제거하면서 Tip의 끝을 잘라서 배양검사를 나가기도 해요 이러한 검사는 균이 자라는지 확인을 해야하기 때문에 주로 5~.. 2024. 3. 19. Blood culture 검사 방법 Blood culture 검사 방법 주로 인턴이 한다(준비물만 챙겨서 인턴을 콜한다!) 그렇지만 방법을 알고자 한다면 1. Blood culture 준비물을 챙긴다 2. 환자에게 다가가…. 이런 체크리스트 식은 기본적으로 안다고 생각하고 술기 위주의 핵심만 정리하고자 한다 1. 채혈 부위 선정 2. 토니켓 적용 3. 멸균 장갑 끼고 Hexial ball 소독 (betadine도 가능하나 소독은 마르면서 되기에 Betadine 마를 때까지 기다리는 사람이 없어 그나마 마르는 시간이 짧은 Hexial을 쓴다고 한다) 4. 10cc syringe로 채혈 5. 마른 거즈로 지혈 후 다른 채혈부위 반복 2022. 10.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