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인공호흡기(ventilator) 기본적인 mode와 셋팅값에 대해 알아볼게요
인공호흡기는 종류가 다양해요
오늘 설명 드릴 부분은 PB 840, PB 980 기준으로 mode 및 셋팅값 공유해봐요!
Ventilator 3가지 mode
Ventilator mode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어요
AC-VC/PC mode
SIMV mode
SPONT mode
각각의 mode에 대해 짧게 요약해보면
기계호흡만 하는 mode는 AC-VC/PC mode에요
기계호흡 + 자발호흡 하는 mode는 SIMV mode에요
자발호흡 보조만 하는 mode는 SPONT mode 에요
환자의 상태 및 호흡 유무에 따라
AC-VC/PC 로 치료하다가 점차 회복되면 SIMV → SPONT mode로 변경해보고
결국 weaning(ventilator 떼기)까지 하게돼요
Ventilator 2가지 호흡 옵션
이러한 Ventilator는 크게 2가지 옵션으로 환자의 호흡을 돕는데요
VC(Volume Control)
PC(Pressure Control)
Volume, 부피를 기준으로 호흡을 돕는 옵션
Pressure, 압력을 기준으로 호흡을 돕는 옵션
이렇게 2가지 옵션이 있어요!
가령, AC mode인 경우
VC는 TV(Tidal volume,1회 호흡량)을 설정해요
PC는 IP(Inpiratory Pressure, 흡기압력)을 설정해요
VC는 환자의 페를 풍선이라고 상상했을 때
400ml 만큼 풍선이 커지게 공기를 불어넣어줘요
PC는 환자의 폐를 풍선이라고 상상했을 때
12mmHg 만큼의 쎄기로 풍선에 공기를 불어넣어줘요
폐의 탄성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셋팅값을 설정하곤 해요!
Ventilator 기타 셋팅값 의미
추가로 알아둬야할 Ventilator setting 값의 의미에 대해 짧게 알아볼게요
PEEP(Positive End Expiratoy Pressure, 호기말양압)
: 이름이 길고 어려워서 그렇지 그냥 숨을 뱉을 때 완전 다 뱉어버리면 쪼그라든 폐포가 다시 안 펴질 수 있어서 다 안 쪼그라들게 잔숨을 남겨주는 기능이에요(허탈 예방)
I:E ratio(Inspirtaion:Expiration ratio, 흡기:호기 비율)
: 들숨:날숨 비율이에요. 1초 들이쉬고 2초 내쉬면 1:2에요. 대부분 1:2가 기본 셋팅값이에요
MV(Minute Volume, 분당호흡량)
: 1분동안 얼마나 숨 쉬었나? 나타내누는 모니터링 값이에요. Tidal volume x RR/min 쉽게 1회 호흡량 x 분당호흡수를 곱하면 1분당 총 얼마 숨 쉬었는지 알 수 있어요
Trigger sensitivity(유발 민감도)
: 우리가 숨을 들이쉴 때 살짝? 멈칫? 하는 순간이 있어요. 기계가 환자 호흡 보조할 때 언제 숨 쉬나? 그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하는 셋팅이에요. Flow or Pressure 2가지 옵션이 있어요
PS(Pressure support, 압력보조)
: 혼자서 안 그래도 숨쉬기 힘들어하는 환자분들이기에 언제나 이 정도는 호흡하는데 힘을 보태주는 값이에요.
'병원사용설명서 > 신규간호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T EKG를 발견했을 때? 대처방법? CPR상황 대처법 (0) | 2025.07.06 |
---|---|
항생제 내성균 치료 가능한가요? 환자 및 보호자가 걱정한다면? (0) | 2025.06.30 |
피검사 tube 용기별 담는 순서 (2) | 2025.06.28 |
PT 와 aPTT 차이점? 둘 다 응고 안되는거 아닌가? (0) | 2025.06.27 |
Foley catheter 2-way 와 3-way 차이점? (0) | 2025.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