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사용설명서/신규간호사

혈액검사 종류 구분하는 방법 검사용기(tube) 구별법

by 유창고 2025. 5. 6.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혈액검사 종류와 용기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환자가 입원할 때
수술 전 검사/ 수술 후 검사시
환자 Consult(협진) 결과
등등

다양한 경우 혈액검사 처방이 우루루 나곤 해요!

혈액검사 종류도 많고
그에 따라 피를 담아야할 용기(tube)도
정말 다양하다보니
신규 간호사 입장에서 막막할 수 있어요!
간단하게 구분하는 방법 알아볼게요!

피의 구성 성분?

혈액 검사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피의 구성성분에 대해 먼저 알아두면 좋아요!

피를 가만히 놔두면
2개의 층으로 구분되는데요
위의 층을 혈장
아래 층을 혈구
혈장 및 혈구로 구분돼요
그래서, 피검사도 2가지 기준을 통해 구분할 수 있어요!

혈액검사 종류별 검사용기(Tube)

혈구관련 검사

대표적인 혈구관련 검사인 일반혈액검사(CBC,Complete Blood Count)는
WBC(백혈구), RBC(적혈구), Hb(헤모글로빈), Hct(적혈구 비율), Platelet(혈소판) 등등
혈구들의 검사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에요

검사 용기(Tube)는 EDTA(보라색) tube를 통해 검사 가능해요!

혈장관련 검사

대표적인 혈장관련 검사는 화학검사에요
정말, 다양하고 많은 검사들이 진행돼요!
신장기능검사(BUN, Cr), 간기능검사(AST, APT), 심장표지자 검사(Troponin), 염증 검사(CRP), 지질 검사(Lipid profile)
이러한 검사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에요

검사 용기(Tube)는 SST(노란색) tube를 통해 검사 가능해요!
(SST용기 뚜껑이 빨강색 bast에 위쪽 부분만 노란색인 경우도 있어요)

이렇게 큰 개념을 2가지 검사용기 혈구와 혈장에 대한 검사를 진행한다고 생각하면 돼요!

그러나 그것말고도 추가적으로 진행하는 피검사들도 있어서 같이 알아볼게요!

혈액응고검사

피의 응고와 관련된 검사를 진행하는 검사에요
PT, aPTT, INR(PT 표준화 수치), D-dimer(clot 수치)
이러한 검사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에요

검사 용기(Tube)는 Citrate(하늘색) tube를 통해 검사 가능해요!
다만, Citrate tube 검사시 주의할 점이 있어요!
-피를 담을 때 가장 먼저 담아야해요!
-담을 때 피 용량이 중요해요!
만약, 다른 Tube를 담고 Citrate에 담다보면 다른 Tube 내부에 있는 물질들로 인해서 Citrate 검사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피 용량이 부족할 경우 부정확한 검사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담을 때 피의 용량 또한 표시된 선까지(2.7ml) 담아줘야 해요

어떻게 딱!맞춰서 담을 수 있을까? 싶지만
사실 용량에 맞춰서 진공 셋팅이 돼있기 때문에
바늘 꽂고 놔두면 알아서 딱 필요한 만큼 들어가요!

 



혈액배양검사

혈액 속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에요
균의 존재 유/무, 균의 종류, 항생제 내성 정도 등등
이러한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

검사 용기는 Blood culture bottle을 통해 진행해요!
혐기성/호기성 1쌍(2 bottle)이 기본 세트에요
주로, 2쌍(4 bottle)을 서로 다른 부위에서 피검사를 진행해요(또는 30분 정도 term을 두고 같은 부위 검사)
만약, C-line(중심정맥관)이 있다면 3쌍(6 bottle) 검사를 나가곤 해요!

이러한 Blood culture 검사시 주의할 점은
병이 혐기성/호기성으로 구분되어 있어
넣는 순서가 중요해요!

주사기로 채혈할 경우
혐기성 넣고 호기성 순서로 넣어요
채혈바늘로 채혈할 경우
호기성 넣고 혐기성 순서로 넣어요

제가 이해한바로는
주사기로 채혈하고 bottle에 넣으면
주사기 바늘 방향이 아래로 향하다보니 시린지 내부 공기가 위쪽으로 가게 돼있어요
그래서 혐기성 bottle에 피를 먼저 담고 나머지를 호기성 bottle에 넣는 거에요
반대로,
채혈바늘의 경우 처음에 공기가 통할 수 있어서?(이건 확실하진 않아요) 
호기성 bottle 그리고 혐기성 bottle 순서를 넣는 거에요

1가지만 더 주의사항을 알려드리면
다른 Tube들과 다르게 검체가 오염되면 안되기에 무조건! 처음 담아야해요!
여러 Tube 검사 처방이 났다면
: Blood culture bottle - Citrate - SST - EDTA 순서로 넣어요

그리고!
bottle에 주시고 꽂아놓으면 한 없이 다 들어가버리니
필요한 양만큼 들어가고 나면 정신 차리고 바늘 빼줘야 해요(생각보다 빨리 빨려들어가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