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사용설명서/수술실(OR)

Freer, Periosteal elevator, Curette, Hohmann 익히기

by 유창고 2023. 6. 12.

수술 기구 중에서 막대기 같은 형태의 수술 기구로 Freer, Periosteal elevator, Curette, Hohmann의 특징 및 각각 수술기구의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Frre, Periosteal elevator, curette, hohmann 각 기구의 사용방법이 비슷하면서도 달라서 각각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알아보겠다.

 

Freer

 Freer의 특징은 양쪽의 납작한 타원형이 입니다. 양쪽의 두께의 차이가 있기는 해서 한 쪽이 조금 더 얇은 느낌이 있지만 큰 차이가 없어 그냥 양쪽 똑같이 사용하곤 합니다. 가운데에는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게 홈이 파여져 있습니다. ​

freer 프리어

 Freer의 사용방법은 Freer는 흔히 쇠막대로서 역할을 합니다. 그 중에서 주된 역할은 elevator로 수술부위를 띄우는 일을 합니다. 예를 들어 ORIF 수술을 위해 mess로 incision을 하고 수술부위까지 들어간 다음 뼈가 뼈막(periosteum)에 싸여 있는데 뼈와 뼈막을 분리하기 위해 뼈와 뼈막 사이 틈에 freer를 밀어넣어 뼈를 노출 시키는데 사용합니다.

 그 외에도 쇠막대로서 뭔가를 잠깐 걷어 올릴 때 가령, 수술을 하면서 retractor류로 벌리기도 하지만 freer로도 마찬가지로 벌리기도 합니다.
 부러진 뼈 redcution하기 위해 받칠 때 부러진 뼈를 맞추기위해서 어딘가는 밀고 당기고 어디는 고정해있어야 하는데 고정시키기위해 받치는 역할을 합니다.

 trigger finger 수술을 하거나 할 때 mosquito curved로도 하기도 하지만 freer로 tendon을 걸어서 당기면서 release가 잘 됐는지 걸리는 부분은 없는지 사용하곤 합니다. freer를 쓰다보면 대강 감이 올텐데 그냥 수술하면서 쇠막대 같이 뭔가 얇고 기다란 게 필요하면 freer를 사용합니다. 활용법이 매우 다양한 기구입니다.

/p>

Periosteal

  Periosteal 페리오스틸 또는 페리오라고도 하면서 끝이 부채꼴 모양의 얇은 판이 있는 모양입니다. 끝의 판을 이용하여 뼈막(periostenum)과 뼈를 긁는데 사용합니다. 

periosteal

 주로 사용하는 용도는 freer와 비슷한 부분도 있는데 위에서 언급했듯이 뼈막을 긁어내는데 주로 사용합니다. Tibia나 Radius shaft or distal 부분에 뼈막을 긁어낼 때 periosteal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뼈 조각을 맞출 때 freer와 마찬가지로 받치거나 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부러진 뼈의 아래를 받쳐서 지지해주거나 위에서 눌러서 부러진 모양에 맞춰지게 해주거나 하는 역할을 합니다.
 추가적으로 protector 역할 보호하는 역할도 하는데 K-wire를 사용하거나 Bit 드릴을 할 때 뼈를 뚫고 지나서 조직을 뚫지 못하도록 뚫고자 하는 뼈의 반대편에 Perio를 받친 채로 뚫으면 wire나 bit가 perio에 부딪히면서 조직을 보호하는 역할로도 사용합니다.

Curette

  Curette은 앞쪽이 홈이 파여져있는 스쿱 같은 모양입니다. 스쿱의 사이즈가 매우 다양하며 주로 스쿱 부분을 이용하여 긁어내는데 사용합니다.

curette

Curette의 사용방법은 주로 긁는 용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Ex&Bx시 or I&D 수술시 Pus 나 discharge(삼출물)을 긁어내는데 사용합니다. 긁어낼 부위가 크다면 앞부분이 큰 curette을 사용하고 긁어낼 부위가 작다면 앞부분이 작은 curette을 사용합니다. 무릎이나 어깨 관절경 수술시 연골(cartilage)부분이 손상이 되어 제거해야하는 경우 A/S용 curette(길이가 길음)을 사용하여 연골부분을 긁어서 제거하는데 사용합니다. 링큐렛이라고 큐렛 앞부분이 동그란 링모양을 되어있는 큐렛도 있습니다. ORIF 수술한 환자가 뼈가 잘 붙어서 Plate를 Remove할 경우 Plate의 남아있는 구멍구멍에 뼈들이 올록볼록 자라있는데 Rongeur로 잡아 뜯기도 하지만 Curette으로 긁어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합니다. 제거하지 않을 경우 주변 조직이 계속 자극을 받거나 문제가 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제거합니다. 이런 부분 말고도 뭔가를 긁어낼 필요가 있을 때 Curette을 많이 사용합니다. 

Hohmann

  Hohmann 호만은 앞 쪽부분에 얇은 걸쇠같은 부분과 이어서 몸통쪽으로 가면서 넓은 판 모양으로 이루어졌습니다.

hohmann


 Hohmann의 사용방법은 주로 지렛대처럼 들어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ORIF하는 경우 뼈가 부러진 부위를 맞추기위해 뼈를 들어올리고 지지하는데 Hohmann의 앞쪽의 뾰족하게 나온 부분을
들어올릴 뼈의 아래 받치고 Hohmann 손잡이를 아래로 내려 뼈를 위로 들어오리며 받친채로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hohmann의 크기도 다양하게 있어 앞쪽이 얇은 것과 두꺼운 것 판 모양이 넓은 것과 좁은 것 손잡이까지의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을 뼈의 사이즈에 맞춰서 알맞은 Hohmann을 사용하곤 합니다.
 뼈를 들어올리는 것 말고도 Freer처럼 쇠막대와 같이 수술부위 주변의 조직을 벌리는 Retractor와 같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