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SpO2 모니터링은 어떻게 해야할까?
2가지 방법이 있는데
간단하게 Probe 기계를 손가락, 발가락에 끼우거나 부착하면 된다
먼저 손가락 및 발가락에 끼우는 기계

SpO2 Probe
간혹 위/아래 방향도 중요한가? 의문이 들 수 있지만
방향은 상관 없으며 그냥 안 빠지게 잘 끼우면 된다
다음으로 부착하는 Probe

disposable SpO2
떨어지지 않게만 잘 말아서 부착하면 된다
(불빛 나오는 칸 옆에 붙일 수 있게 끈끈이들이 있다)
다만 환자의 손가락, 발가락에 Probe를 적용 했는데
SpO2가 낮게 나올 경우가 있다?
실제로 낮은 걸 수도 있지만
분명 환자 상태가 낮을 이유(호흡곤란, 숨참)가 없는데? 왜 낮게 나오지 하면?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다
1. 말초 부위의 차가움
: 말초 부위가 차가워서 순환이 잘 안돼 SpO2값이 낮게 나올 수도 있다.
그럴 때는 측정 부위를 따뜻하게 해주거나 다른 부위로 옮긴다
2. 매니큐어 및 네일
: 측정에 오류를 불러 일으킬 수 있으니 지우거나 제거하도록 하자
기타 등등
이러한 오류에 대해 설명하자면 SpO2의 원리를 알아야 하는데
굳이 알 필요는 없지만,,,
(SpO2의 측정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Prove에서 나오는 빨간 빛이 혈색소에 산소가 얼마나 붙어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을 하는 것으로 이 부분을 이해한다면 왜 순환이 잘 안되거나 빨간 빛을 방해하거나 막는 것으로 인해 측정 오류가 생기는 지를 알 수 있다)
위의 부분들을 잘 알아보고
Doctor에게 Notify 후 조치하도록 하자
그리고 Probe 적용 방법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하자면
끼우는 기계는 손가락 및 발가락에는 밖에 안되지만
부착하는 형태는 추가적으로 몇 군데 더 할 수 있는데
- 이마
- 귓볼
두 군데 더 측정 할 수 있다
이마의 부착 방법

이마 SpO2
(나도 아직 왜 이렇게 해서 측정이 되는지는 잘 모르겠다?)
이러면 나온다 잘 나온다
다만 부위 특성상 잘 떨어질 수도 있으니 skin tape(갈색) 등을 사용해서 덧붙여주곤 했다
귓볼 부착 방법

귀 SpO2
다만!!! 귓볼로 옮기고나서 정말 중요한건데
귓볼은 다른 부위보다 환자의 현재 상테에서 SpO2가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원래 환자 몸 속의 산소가 70mmHg 있는 환자가 있는데
손가락에서 Spo2 측정시 94%가 나왔는데
귓볼로 SpO2 측정하면 97% 나올 수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측정부위가 변한 부분도 인계 및 notify시 알리는게 좋다
그래야 오해의 소지 없이 환자 상태를 정확히 공유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적절히 할 수 있다
(자칫 오해로 인해 조치가 늦어지거나 부적절한 조치를 할 수도 있다)
SpO2는 환자의 현 상태를 간접적이고 즉각적으로 나타내는 매우 중요한 수치이다
그러니 그 변화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하자!
'병원사용설명서 > 중환자실(ICU)'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ubation 준비물 및 방법? (0) | 2023.03.08 |
---|---|
Intubation 하는 이유? (0) | 2023.03.06 |
SpO2 정상 범위란? (0) | 2023.03.05 |
V-fib, VT EKG 보는 법? (0) | 2023.03.04 |
VPC EKG 모니터링 하는 법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