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사용설명서/중환자실(ICU)

Tracheal tube(cannula) suction시 주의사항

by 유창고 2023. 4. 11.

Tracheal tube suction시 주의사항

Tracheal tube 환자 suction 방법은

사실 그렇게 어려울 건 없다

ET tube 환자 suction과 비슷하다

다만 길이가 조금 짧아진 정도??

그렇지만

조금 다른 부분과 유의할 점이 있다

* Suction tip 구분

 

먼저 Suction tip은

Rubber(주황색)(말랑함)

 

PVC(투명)(딱딱함)

 

2가지를 주로 사용하는데

아무것도 모르던 시절,,,

Tracheal tube 환자에게 PVC suction을 했다가

혼났던 기억이 있다

ET tube는

PVC로 해도 suction tip이

tube 밖에까지 나오지 않아서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적지만

Tracheal tube는

길이가 짧아 suction tip이

tube를 지나서 나온다

그렇기 때문에 딱딱한 PVC suction tip 끝에

손상이 생길 수 있기에

부드러운 말랑말랑 Rubber suction tip으로 suction을 한다

 

+ 아무리 Rubber suction tip을 쓴다해도

너무 빠르게 넣었다 뺐다 하면

손상이 갈 수 있으므로

기관지에 닿을 정도가 되면 조심하도록 하자!!

(닿는게 뭔지 모를 수 있지만

넣다보면 뭔가 탁! 걸리는 구간이 있다

그 때 닿은거다)

* Bleeding(출혈)

Tracheostomy를 한지 얼마 안된 환자의 경우

수술한 wound부분에 거즈에서도 피가 나지만

 
 

Suction을 할 때도

pinkish(분홍색)

or

blood color(검붉은색)

섞여 나오는걸 볼 수 있는데

(Suction line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저런 Color가 나오면,,,

혹여나 내가 너무 격하게 suction해서

다친건 아닐까 싶긴하지만

대부분 초반(~1주)

수술로 인해 자연스레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니

너무 놀라지 말자

근데 원래 없었는데 갑자기

Fresh blood color 가 그림처럼 나온다면

(Fresh blood color는 딱보면 본능적으로 느껴진다

아!! 이건 피다!!)

당연히 주변 선배 간호사에게 물어는 봐보자

(갑작스런 변화는 일단 물어보자!!)

근데 그게 아니라 소량씩 계속 나오고 있었다면

(+ 다량씩 계속 나와도 물어보자!!)

그냥 Obseration 해도 괜찮으니

너무 걱정하지 말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