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비정상 Vital Sign 중에서 혈압(BP), 맥박(HR) 범위에 대해 알아볼게요!
혹시, Vital Sign 정상 범위가 궁금하신 선생님이 있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keemyouseong/223750535634
Vital Sign BP, HR, RR, BT, SpO2 정상범위 1편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Vital sign 정상 범위 및 비정상 범위 기준에 대해 알아볼게요 신규 간호사 ...
blog.naver.com
BP(Blood Pressure) 정상/비정상 범위
우선, 교과적인 정상 범위와 실제 임상에서 다루는 정상에서 벗어나지만 지켜보는 범위가 있어요
그러한 점을 참고해서 3가지 기준으로 범위별 기준을 세워봤어요!
정상범위 : 정상상태 + 약간의 관심이 필요한 상태
중간범위 : 주의하면서 지켜볼 필요가 있는 상태
비정상범위 : 일단 확인해볼 필요가 있는 상태
정상범위/중간범위/비정상범위 3가지 기준으로 혈압 수치에 대해 확인해볼게요
(다만, Vital Sign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하는 점 참고해주세요!)
BP의 경우 주로 SBP를 보고 많이 조절해요
DBP의 경우도 주의 깊게 봐야하긴 하지만 SBP를 보는 빈도가 더 높아요!
그래서, SBP 기준으로 범위 기준을 구분해보면
<SBP가 낮을 때>
정상범위 : 90~120mmHg
중간범위 : 70~90mmHg
비정상범위 : 70mmHg 이하
특히 혈압이 낮은 경우, 이전 혈압 확인을 같이 하는게 중요해요
120mmHg → 100mmHg 수치가 확인 됐다면 우선은 정상범위로 약간의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면 돼요
그런데!
160mmHg → 100mmHg 수치가 확인 됐다면 갑작스럽게 변화된 원인이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어요
이런 경우엔 수치상 정상일 수 있지만 중간 정도로 좀 더 주의하면서 확인해볼 필요가 있어요
그런데!!
90mmHg → 70mmHg 이하 수치가 확인 됐다면 일단 정확한 혈압 측정됐는지 확인해보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빠르게 확인해야 해요!
사실 70mmHg 이하 정도의 수치가 보인다면, 왠만하면 빨리 조치를 취해주는게 좋아요
이제 반대로
<SBP가 높을 때>
정상범위 : 120~140mmHg
중간범위 : 140~180mmHg
비정상범위 : 180mmHg 이상
혈압이 높은 경우, 환자의 평소 혈압과 비교해서 크게 변화가 없다면 상태만 지켜보기하는 경우가 많아요
왜냐하면 이미 혈압 조절을 위해 복용하는 약도 있고
혈압이란게 생각보다 영향을 많이 받는 수치 이기 때문에 다른 영향으로 갑작스럽게 올라간 것일 수도 있어요
환자분이 열이 나거나, 통증을 호소하거나 등등으로 올라가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때는 혈압이 상승한 원인을 조절해줘서 혈압을 낮춰줘야지
혈압 수치만 집중해서 원인은 놔둔채 혈압만 낮추는 약을 줘서 낮췄을 경우
추후 해당 원인이 사라졌을 때 갑자기 혈압이 확 내려가는 경우도 있어요!
그런데!
180mmHg 이상 측정이 됐다면
일단은 굉장히 높은 혈압 수치이기 때문에
확인을 해보고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어요!
다만, 주의할 점으로 환자분의 경우에 따라 팔이 아니라 다리쪽 하지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하지 혈압을 측정할 경우 SBP가 10~40mmHg 정도 높게 나올 수도 있어서 그러한 점을 감안해서 조절해줘야 해요!
HR(Heart Rate), PR(Pulse Rate) 정상/비정상 범위
맥박의 경우 수치도 중요하지만 사실 EKG 리듬이 더 중요하긴 해요
하지만, EKG까지는 아직은 어려울 수 있기에
횟수 정도로만 우선 확인해볼게요!
<HR/PR가 낮을 때>
정상범위 : 60~80회/min
중간범위 : 40~60회/min
비정상범위 : 40회/min 이하
맥박이 낮은 경우에 대해 자주 접하는 부분 중 하나가
운동을 많이한 환자에요
마라톤을 하거나 운동을 좀 한 환자의 경우
정상인데도 맥박 수치가 50회/min 전/후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니
환자분이 멀쩡한대 맥박 수치가 낮다면
평소에 운동하시냐? 물어보는 것도 방법이에요!
<HR/PR가 높을 때>
정상범위 : 80~100회/min
중간범위 : 100~140회/min
비정상범위 : 140회/min 이상
맥박이 높은 경우에
monitor상 노이즈로 인해 수치가 부정확하게 나오는 경우도 있고
부정맥으로 인해 부정확하게 나오기도 해요
특히, 맥박 수치가 빨라졌다 느려졌다 하면서 100회/min을 넘긴다면
A-Fib /c RVR도 한 번 생각해보면 좋아요!
Vital Sign의 정상 및 비정상 범위에 대해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 부탁드려요!
Vital Sign BP, HR, RR, BT, SpO2 정상범위 1편
Vital Sign 혈압(BP), 맥박(HR) 비정상범위 구분하는 팁 2편
Vital Sign 호흡수(RR), 체온(BT), 산소포화도(SpO2) 정상 비정상 범위 구분하는 법 3편
'병원사용설명서 > 신규간호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사 협회비 내는게 이득일까? (0) | 2025.05.12 |
---|---|
Vital Sign 호흡수(RR), 체온(BT), 산소포화도(SpO2) 정상 비정상 범위 구분하는 법 3편 (1) | 2025.05.11 |
Vital Sign BP, HR, RR, BT, SpO2 정상범위 1편 (0) | 2025.05.09 |
Tibia IM nail 수술 정리 OS1 (1) | 2025.05.08 |
AST항생제종류 '이 항생제 검사 해야하나?' 구분하는 법 (0) | 2025.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