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사용설명서/신규간호사

Vital Sign 호흡수(RR), 체온(BT), 산소포화도(SpO2) 정상 비정상 범위 구분하는 법 3편

by 유창고 2025. 5. 11.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비정상 Vital Sign 중에서 혈압(BP), 맥박(HR) 범위에 대해 알아볼게요!

혹시, Vital Sign 정상 범위가 궁금하신 선생님이 있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keemyouseong/223750535634

 

Vital Sign BP, HR, RR, BT, SpO2 정상범위 1편

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Vital sign 정상 범위 및 비정상 범위 기준에 대해 알아볼게요 신규 간호사 ...

blog.naver.com

 

RR(Respiration Rate) 호흡수 정상/비정상 범위

호흡수는 생각보다 덜 중요하게 다뤄지기도 하는 Vital sign 수치기도 해요
호흡수보다 SpO2를 중요하게 보고
호흡수는 제대로 확인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요
그러면 안돼요!!

<RR이 낮을 때>
정상범위 : 12~16회/min
중간범위 : 10~12회/min
비정상범위 : 10회/min

<RR이 높을 때>
정상범위 : 16~20회/min
중간범위 : 20~30회/min
비정상범위 : 30회/min

호흡수의 경우 측정할 때 주의할 점으로
환자분한테 "호흡 측정할게요~" 이렇게 알려주면
의삭하게 돼서 오히려 부정확한? 측정값을 얻게 돼요
그렇기에 가능하다면 환자 몰래 호흡수를 측정해요!
저는 개인적으로 맥박이나 혈압을 측정할 때
그 타이밍을 활용해서 측정해요!

호흡수는 비정상범위 횟수인지 아닌지도 중요하지만
호흡을 편안하게 하는지?
아니면 근육을 사용해서 힘겹게 하는지?
이러한 여부도 중요하니
호흡 양상도 꼭! 같이 확인해줘야 해요!

 

BT(Body Temperature) 체온 정상/비정상 범위

<체온이 낮을 때>
정상범위 : 36~36.5도
중간범위 : 35~36도
비정상범위 : 35도 이하

<체온이 높을 때>
정상범위 : 36.5~37.5도
중간범위 : 37.5~39도
비정상범위 : 39도 이상

정상 체온은 흔히 36.8도 라고 알고 있어요
그런데 생각보다 체온도 정상인 경우 범위가 넓어요

체온이 낮을 때는 담요나 이불을 덮어주거나
warmer기라는 따뜻한 바람이 나오는 기기로 환자에게 적용해줘요
다만, 주의할 점으로 너무 따뜻한 상태로 오래 지속될 경우
환자분이 Burn 화상을 입을 수도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이 들어가는 입구쪽 피부에 이상이 있는지(피부가 빨갛게 올라옴) 확인해야 해요!

체온이 높을 때는 의사에게 Notify하고 약물적 치료를 하기도 하지만
간호사로서 Ice pack를 적용해줄 수도 있어요
이때, Ice pack은 '목, 겨드랑이, 허벅시 사이' 3군데 대줄 수 있는데요
그 곳에 대주는 이유는
- 목(총경동맥)
- 겨드랑이(액와동맥)
- 허벅지 사이(대퇴동맥)
동맥이 지나가는 부위에 얼음팩을 대줘서 체온을 떨어뜨려 줘요
다만, 이때도 주의할 점이 있어요
얼음팩을 직접 살에 대면 안돼요!
얼음팩을 시트나 포에 싸서 환자분 환의 위쪽에 대줘요
맨살에 대면 피부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러면 안돼요!
그리고 얼음팩이 녹기 때문에 중간 중간 잘 확인해줘야 해요!

 

SpO2 산소포화도 정상/비정상 범위

<SpO2가 낮을 때>
정상범위 : 95~100%
중간범위 : 94~95%
비정상범위 : 93% 이하

산소포화도는 환자 몸 속의 산소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간편하면서도 중요한 지표에요
그렇기 때문에 주의 깊게 수치를 확인해야 해요!
그런데 생각보다 수치가 부정확한 경우도 많아요

SpO2 모니터를 볼 때
Wave가 정상인지/부정확한 상태인지 구별하는게 중요해요!

 

왼쪽의 Wave가 정상적인 Wave에요
그와 다르게 Flat한 오른쪽 Wave는 부정확한 상태에요
이러한 Wave로 측정된 값으로 Notify를 한다면
환자의 상태와 다르게 부적절한 처치가 들어가기도 해요

SpO2 측정의 경우 주로, 손가락, 발가락, 이마, 귓볼 말초 부위에서 측정이 가능해요
그런데 말초 부분의 순환 상태가 안 좋거나 차가운 경우
위의 Flat한 상태로 나타나곤 해요

그럴 때는, 측정 부위를 바꿔보거나
환자 상태를 빨리 확인해야하고 상태가 안 좋아보인다면
빠르게 ABGA(동맥혈검사)를 통해 실제 피의 산소화 정도를 확인하고
그것에 맞춰서 처치를 하기도 해요!

 

Vital Sign BP, HR, RR, BT, SpO2 정상범위 1

Vital Sign 혈압(BP), 맥박(HR) 비정상범위 구분하는 팁 2

Vital Sign 호흡수(RR), 체온(BT), 산소포화도(SpO2) 정상 비정상 범위 구분하는 법 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