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넘어지면서 손목을 짚을 경우
손목 뼈인 Radius(엄지손가락쪽), Ulnar(새끼손가락쪽) Distal 부분에 골절이 생기곤 해요
이럴 때, 관절면의 모양을 맞춰주지 않으면
뼈가 붙었을 때도 관절염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금속판과 금속나사를 이용해 뼈를 고정시켜줘요
준비물
Set : Ex&Bx set
Drape : Hand pack, 중포
Single
: Drill, JM Distal Radius set, JM JEIL distal Radius set(여성 환자분의 경우 Plate가 상대적으로 폭이 작아 사용함)
: Suction line, Bovie, Self(mini), Wire cutter, 막홀더, Plate cutter, Bone file, Spoid, K-wire, Bone clip(소), 무영등 손잡이, 4x4 Gauze(4), 4'STN, 4'EB(1), 4'CB(1), 4'A-EB(1), Vicryl 2/0(1), Vicryl 3/0(2), Nylon 4/0(3), Pen, 15번 mess(5)
Procedure
<Distal Radius>

- Pen으로 Incision line 그림(FCR,Flexor Carpi Radialis tendon)
- 15번 Mess로 skin & Subcutaneous incision 함
- Iris + Adson Tooth forcep으로 dissection함(FCR tendon 나올때 까지)
- FCR Tendon 나오면 Senn으로 걸어서 당겨줌

- Raidal artery 및 Median nerve 주의하며 Iris or 15번 mess로 dissection함

- Pronator Quadratus 나올때 까지 들어감
- Pronator Quadrauts 근육 나오면 15번 mess로 incision함
- Bone 나오면 Periosteal로 긁어내면서 Bone 노출 시킴
- Freer로 Fracture site 걸면서 손가락 당겨서 Reduction 시킴
- K-wire 1.4로 Radius 엄지쪽으로 해서 Reduction 임시 고정함
- C-arm 보면서 Plate 위치 잡음(Plate, JEIL Large, 3hole 사용함)(Proximal이 Shaft 중간에 위치하고 Distal Plate가 Head 벗어나지 않고 적당히? 아래로 위치하게?)
- Proxiaml Sleeve 걸고 바로 Drill Bit함
- Proximal locking cannulated screw 고정함(Proximal은 전동 힘 약해서 screw가 안 박힘)
- Proximal screw 2개 정도 고정한 다음 C-arm으로 Plate 위치 확인함(박으면서 흔들리는 경우도 있음)
- 위치 적절하면 Distal K-wire 1.0으로 임시 고정함
- Distal locking cannulated screw 가능한 다 박음(전동으로)
- 마지막 Proximal 1개 Screw 더 박고 C-arm으로 AP/Lateral 위치 확인하고 나감(Joint 관절면, Screw가 반대쪽 Cortex bone 뚫고 나갔는지 확인함)
<Distal ulnar>
- Pen으로 Incision 부분 표시함
- 15번 mess로 incision함
-Iris + Adson tooth forcep으로 dissection함
+ self retractor(mini)로 걸음
-Vicryl 2/0로 suture tagging 해서 Ulnar bone? 당김
-ulnar hook plate(6 hole) 길이에 맞춰서 자름(갈고리 한개, distal쪽 Hole 1~2개 정도 잘라냄) + bone file로 갈아냄
-Hook에 distal ulnar bone 위치 잡아서 걸음
-locking sleeve 걸고 Drill bit + locking cannulated screw 드릴에 물어서 박음
-드릴 bit만 Free로(가이드 없이) 나머지 screw 박음
<마무리>
-Iriigation
-Vicryl 3/0 - Nylon 4/0 suture
-Skin closure 붙임
-4x4 Gauze - 4'CB - 4'A-EB - Bongips
'병원사용설명서 > 신규간호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lture 결과 확인하는 방법(MRSA, MRAB, CRE, VRE) (0) | 2025.03.29 |
---|---|
ventilator FiO2 와 산소농도 O2 관계 알아보기 (0) | 2025.03.28 |
A/S bankart repair 수술(OS3) (0) | 2025.03.26 |
신규 간호사를 위한 멸균장갑 사이즈 고르는 법 및 착용법 꿀팁!! (0) | 2025.03.25 |
이건 어디 버려야하지? (의료폐기물, 손상성폐기물, 일반쓰레기) (0) | 2025.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