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CU16

CVP 정상범위? * CVP 정상범위? : CVP는 전신순환 혈액량이 우심방에 돌아오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전신의 Volume을 알아내는 지표로서 활용된다 정상 범위는 2-8mmHg​ 이다 근데 이게 헷갈리게 압력 단위가 2가지다 mmHg로는 2-8이지만 cmH2O로는 5-10cmH2O이다 그래서 대강 본인은 그냥 cmH2O로만 생각했다 사실상 CVP는 보조적인 지표로 사용하고(측정오류도 많고,,,) 대략적인 수치와 추세를 중요시 보기 때문에 2가지 다 외우지 않고 한 가지라도 정확하게 기억해 대략적인 정상 범위를 기억했다 그렇다면 CVP가 높고 낮을 때 의미하는게 무엇일까? - CVP가 높음 : Volume이 많음(폐부종, pleural effusion 등 우려) -> 이뇨제를 사용해서 Volume을 빼줌 - CVP.. 2023. 2. 4.
* CVP 측정법? * CVP 측정법? : 측정법 이전에 CVP가 의미하는 지표는 무엇인가? CVP란? 우심방(전신 순환한 피가 돌아오는 곳)에 들어오는 혈액의 압력 으로 몸에 전체적인 피 및 수분(Volume)이 얼마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측정한다 CVP가 높으면 몸에 Volume이 많구나 CVP가 낮으면 몸에 Volume이 적구나 알 수 있다 C-line을 통해 측정하며 C-line에 CVP line을 연결하여 측정한다 주로 Clavicle or Jugular에 C-line이 있는데 우선 Clavicle 3-lume C-line을 예를 들어보자 위 위치에 있는 Lumen 3개 중 남는 Lumen 한 개를 정해서 아래 CVP cable과 연결된 CVP line을 연결해서 (CVP cable에 있는 3-way 돌리는 쪽이.. 2023. 2. 4.
Q) ABP wave 안 나올 때? Q) ABP wave 안 나올 때? ​ (환자 catheter 위치 및 손목 모양 확인, 필요시 Tegaderm dressing 재고정, Arm board 및 부목 적용, Flushing 해주기, disconnect 됐는지 확인, Pressure bag 확인, monitor cable 확인) : 문제 원인을 Catheter / Transducer / Cable / Monitor 네 가지로 구분해서 알아보자 [Catheter] : Cath의 function 문제로 우선 Flushing을 해보고도 Wave가 안 돌아온다면 - 5cc 주사기로 3-way부분 연결해서 Push 해보고 regurge도 해보자 Push 시작 할 때 빡빡하다가 푸슉하고 들어가면 아마 Wave도 나올거임 (계속 뻑뻑하면 1cc 주사기로.. 2023. 2. 4.
Q) ABP가 갑자기 평소보다 높게 측정 될 때? (Transducer 확인 & 환자 상태 확인) Q) ABP가 갑자기 평소보다 높게 측정 될 때? (Transducer 확인 & 환자 상태 확인) : 간혹 혈압이 SBP가 140mmHg 정도 전후로 유지되는 환자가 BP가 180~190mmHg 뛰거나 할 때가 있다 이 때 놀라서 바로 Doctor에게 Notify하지 말고 확인을 꼭 해봐야하는 부분이 있다 Transducer가 Holder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그럴 때 ABP의 기준점이 바뀐 것이라 BP가 높게 모니터상 나오게 된 것이다 Holder에 다시 Transducer에 위치 잡고 Zeroing 하면 된다 그 후에도 BP가 높게 측정될 경우 환자 상태를 확인해보고 Fever 는 없는지? Pain 호소하는 건 없는지? 호흡은 Stable(안정)한지? 등등을 확인해보고 Doctor에게 No.. 2023.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