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들
오늘은 의료폐기물 버리는 것에 대해 알아볼게요
병원에서 근무하면서
정말 많고 다양한 폐기물 및 쓰레기들이 나오곤 해요
수액을 하나 만든다고 해도
수액백 비닐, 수액세트 비닐, 알코올 스왑 껍데기, 주사기, 주사기 니들 등등
그리고 이렇게 생긴 쓰레기들을
적절한 곳에 폐기해야 해요!
그렇기에 각각 어디에 버려야 하는지
구분하는 기준에 대해 알아볼게요!
'환경부 폐자원관리과-의료폐기물 분리배출 지침'에 따르면
다양한 폐기물 종류가 있어요
격리의료폐기물
위해의료폐기물(조직물류, 병리계, 손상성, 생물/화학, 혈액오염)
일반의료폐기물
등등
그런데, 임상에서 주로 버리는 곳은 3가지에요
손상성 폐기물
의료 폐기물
일반쓰레기
손상성 폐기물의 경우,
주사 바늘, 봉합바늘, 수술용 칼날, 한방침, 치과용침, 파손된 유리재질의 시험기구
같이 용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는 뾰족하고 날카로운 경우 손상성 폐기물 통에 버려요
(딱 봐도 용기가 플라스틱으로 딴딴하게 생겼어요)
의료 폐기물의 경우,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과 접촉한 경우
감염 가능성이 있는 경우
폐백신, 폐항암, 폐화학치료제와 접촉한 경우
의료 폐기물로 분류해서 버려야 해요
마지막으로 일반 쓰레기의 경우,
그 외의 나머지가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해요
그런데, 실제로 임상에서는
많은 부분이 일반쓰레기가 아닌 의료 폐기물에 버려지곤 해요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 |
![]() |
![]() |
![]() |
![]() |
각종 수액병, 바이알, 수액백, 생활쓰레기 등등이 잘못 버려지곤 해요
그런데 이게 또 막상 일하면서 버릴 때 생각해보면
이게 맞나? 갸우뚱 하게 되요
그렇기에 기준을 잡아보면
날카로우면 '손상성 폐기물'
체액 및 분비물 / 백신, 항암, 화학치료제 / 감염성 환자 와 접촉했다면 '의료폐기물'
그 외 나머지 '일반쓰레기'
(특히, 날카로운데 의료폐기물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해요!)
그럼, 문제를 내볼게요!!
Q) 아벨록스(항생제)를 준비하다가 실수로 바닥에 떨어뜨려 깨진 경우?
어디에 버려야 할까요?
정답은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해요!
Q) 수액세트, 주사기, 3-way 비닐 포장의 경우?
어디에 버려야 할까요?
정답은 일반쓰레기에요
그런데?
만약, 준비하다가 비닐에 피가 묻었다면?
의료폐기물로 버려야 해요!
Q) 가정에서 발생한 주사기 니들은 어디에 버려야 할까요?
정답은 의료폐기물에 해당하지 않아요
왜냐하면 의료폐기물이란, 의료폐기물 발생 기관에서 배출된 것으로, 가정에서 발생된 경우 해당하지 않아요!
좀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https://www.me.go.kr/home/web/policy_data/read.do?menuId=10259&seq=8184
첨부파일 '의료폐기물 분리배출 지침'을 참고해보세요!
'병원사용설명서 > 신규간호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 bankart repair 수술(OS3) (0) | 2025.03.26 |
---|---|
신규 간호사를 위한 멸균장갑 사이즈 고르는 법 및 착용법 꿀팁!! (0) | 2025.03.25 |
A/S RCR(OS2) 회전근개재건술 (0) | 2025.03.23 |
Laparoscopy appedectomy 복강경 충수돌기염 제거 수술(GS2) (0) | 2025.03.22 |
환자 지참약 확인 방법 경구약 식별의뢰법(약학정보원) (0) | 2025.03.21 |
댓글